Memoization (메모이제이션)
·
Algorithm/내용 정리
❐ Description[LeetCode#198. House Robber] 문제를 풀면서 메모이제이션 방식에 능숙하지 않음을 파악했고,간단한 예제와 함께 두 가지(top-down / bottom-up) 방식을 숙달하자.      ❐ 메모이제이션이란?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동일한 계산을 반복해야 할 때, 이전에 계산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동일한 계산의 반복 수행을 제거하여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빠르게 하는 기술이다. 특히 동적계획법(DP)의 핵심이 되는 기술이다. 주로 배열 또는 맵을 이용해서 결과를 저장한다.      ❐ 구현하는 두 가지 방식1. Top-Down (하향식)재귀 기반의 접근으로, 문제를 더 작은 하위 문제로 나누어 풀어가며, 이미 계산한 결과를 저장..
레디스 데이터 백업 방식
·
Back-End/Redis
❐ Descriptionredis를 캐시가 아닌 영구 저장소와 같은 용도로 사용한다면, 데이터를 디스크에 주기적으로백업하는 것이 안전하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 Redis에서는 RDB와 AOF 두 가지백업 방식을 지원한다. 오늘은 각 백업 방식의 특징과 차이점을 학습해보자.     ❐ RDB1. RDB란?RDB 파일은 레디스에서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가장 단순한 방법이다.원하는 시점에 메모리  자체를 스냅숏 찍듯 저장할 수 있다.바이너리 파일이다.AOF 파일보다 사이즈가 작아서, 로딩 속도가 더 빠르다. 2. 저장 시점 정하기save 900 1           #900초(15분) 동안 1번 이상 key 변경이 발생하면 저장save 300 10         #300초(5분) 동안 10번 이..
[LeetCode#128] Longest Consecutive Sequence
·
Algorithm/문제풀이
❐ Description문제링크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consecutive-sequence/description/난이도medium(골드3~2)     ❐ 문제 분석주어진 배열에서 가장 긴 연속되는 요소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이다.중복되는 숫자는 제외해야 하며, `O(n)`의 시간 복잡도로 구현해야 한다.     ❐ 문제 풀이1. 시간 복잡도 `O(NlogN)`정렬을 사용해서 풀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문제의 요구사항인 시간복잡도 보다 크지만,문제 제약 조건이 허술해서 이 방법으로도 풀이는 된다.public int longestConsecutive(int[] nums) { Arrays.sort(nums); int maxLength = -1; ..
Binary Search는 꼭 정렬된 배열에서만 사용해야 할까?
·
Algorithm/내용 정리
❐ Description[LeetCode#162] Find Peak Element 문제를 풀면서 단순하게 생각했던 부분을 바로 잡자.     ❐ Find Peak Element 이진 탐색이란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에서 단조성을 이용해 특정값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wiki 링크)단조성이란? 값이 한 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특성 그래서 이 문제를 처음에 접근할 때 이진 트리를 어떻게 사용하라는 거지? 라는 생각을 헀다.왜냐면 주어진 배열은 오름차순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당 문제의 요구사항 중 하나는`O(logN)`의 시간 복잡도로 풀이를 하는 것이다.     ❐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Binary Search를 적용할 수 있다.위에서 단조성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그럼 다음 배열은 단조성을 ..
직렬화 & 역직렬화
·
Langauge/Java
❐ DescriptionRedis를 사용할 때 데이터를 저장/조회 하는 과정에서 직렬화와 역직렬화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그래서 오늘은 Java의 직렬화 & 역직렬화 부터 다시 알아보고, 순서대로 SpringBoot, Redis에서직렬화와 역직렬화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자.     ❐ Java에서 직렬화 & 역직렬화 사용하기우선 자바 직렬화를 사용하기 위해선 아래의 functionalInterface를 사용해야 한다.package org.springframework.core.serializer;@FunctionalInterfacepublic interface Serializer {...} 위 인터페이스를 정의해줘야 하는 이유는 아래의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Overridepublic vo..
[LeetCode#875] Koko Eating Bananas
·
Algorithm/문제풀이
❐ Description문제 링크Koko Eating Bananas난이도medium / Gold 4~3     ❐ 문제 분석 및 접근 piles : 바나나 더미h : 가드가 자리를 비우는 시간k : 원숭이가 한 시간동안 먹을 수 있는 바나나 갯수 int[] piles = {10, 13, 34, 55}예를 들어 위와 같은 경우에, 원숭이가 시간당 먹을 수 있는 바나나의 갯수(k)가 15라면 원숭이가 모든 바나나 더미를 다 먹는데 걸리는 시간은 아래와 같을 것이다.‣ 10개 - 1시간‣ 13개 - 1시간‣ 34개 - 3시간‣ 55개 - 4시간  원숭이가 먹을 수 있는 최소 바나나 갯수는 1개이고 최대 바나나 갯수는 piles 중 가장 큰 수이다.⇨ 정답 k는 이 사이에 존재한다. 그리고 위의 예시에서 `k ..
[LeetCode#1631] Path With Minimum Effort
·
Algorithm/문제풀이
❐ Description[1631. Path With Minimum Effort] 문제를 다시 풀었는데 제대로 풀지 못해서 정리한다.     ❐ 접근 방식 (Binary Search)여기서는 Mid 값일 때 움직일 수 있는 경로만 움직이는 것이 핵심 포인트다. lowerEffort, upperEffort를 각각 설정한다.최소 : 0최대 : 1_000_000lowerEffort가 upperEffort 보다 작을 때만 while문을 수행한다.시작점으로 부터 좌,우,위,아래를 순회하는데Mid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만 이동할수 있다.목표 지점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도달하지 못함 ⇨ 현재 Mid 값으로 부족 ⇨ 더 큰 Mid 값이 필요 ⇨ lower = mid;도달 함 ⇨ 현재 Mid 값으로도 충분 ⇨ 최소..
Redis를 캐시로 사용하기
·
Back-End/Redis
❐ Description주로 고정적인 데이터나, 변화가 적은 데이터에 대해서 캐싱을 많이 사용해왔다. 물론 앞으로도 많이사용할 것 같은데, Redis를 캐시로 더 잘 사용하는 법과 주의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숙지하자.     ❐ Redis와 캐시1. Warming-up캐시를 사용하게 되면 아래의 이점을 챙길 수 있다.원본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시간을 단축 ➪ API latency 단축애플리케이션 자체의 리소스 최적화RDB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캐시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올 수 있음 ➪ 장애 시간 단축 그렇다면 어떤 특지을 갖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캐싱을 해야할까?변화가 적은 데이터 (상단 배너 공고)자주 검색되는 데이터(최근 검색 이력) 2. Redis as a Cache그렇다면 Redis를 캐시의 용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