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ree와 DB 인덱스(index)
·
CS/Database
❒ DescriptionDB 인덱스는 B-tree 자료구조를 사용한다. (참고로 MySQL은 B+tree)B-tree와 조회,삽입,삭제의 시간복잡도가 동일한 다른 self-balancing BST인 AVL, Red-Black tree도 있는데왜 B-tree를 쓰는지 알고는 있지만 개념을 정리해보자.     ❒ 메모리 계층우선 DB가 어디서 데이터를 퍼올리는지 이해해야 한다.위 이미지는 메모리 계층을 나타낸 것이다. 위로 올라갈 수록 속도는 빨라지지만 용량은 작아진다. 우리가 DB에저장하는 데이터는 가장 하위에 위치한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보조 기억 장치와 주 기억 장치 사이의 데이터전송 단위를 Block이라고 하는데, 딱 원하는 데이터만 읽어 오는 것은 아니고 한 block 단위로 데이터를 읽어온..
FD & Normalization
·
CS/Database
❒ Description정규화(Normalization)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데이터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 무결성을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정규형(Normal-form)에 맞도록 구조화하는 프로세스를 뜻한다.1NF ~ 6NF 까지 있는데 보통 3NF까지 만족하면 정규화 됐다라고 한다. 그리고 정규화를 이해하기위해서는 FD(Functional Dependency)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FD (Functional Dependecny)한국어로 함수 종속이라고 하는 Functional Dependency는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relation)에서두 개의 애트리뷰트(attribute) 집합 간 제약의 일종이다.  X의 값에 따라 Y 값이 유일하게 결정될 때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